국제음성기호(IPA) 자음의 기본적인 체계
정리 : 최종민(한국방송통신대학교 시간강사, 초안 2006.10.10)
<참고> : 아래 표에 안보이는 글자가 많아서
한글97문서로 작성하여 위에 첨부합니다.
국제음성기호(IPA)의 자음 체계를 보면,
1996년에 수정된 기본적인 자음 체계표에
한국어에 있는 유기음이나 긴장음의 표시를 볼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파열음’에서 ‘유기음’(Aspirated)인 [p?,??, k?]와
‘긴장음’(Tense)인 [p', ?', k']를 더 넣고,
‘마찰음’에는 유기음인 [??]와 긴장음인 [s', ts']를
더하여 넣고자 합니다.
그리고 편리하게 보기 위하여
용어를 간단히 번역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1 : 국제음성기호(IPA)의 자음의 기본적인 체계표>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revised to 1993, corrected 1996) CONSONANTS (PULMONIC) : 자음(폐의 작용) | ||||||||||||||||||||||
조음점→
조음방법↓ |
Bila- bial 순
|
Labio-dental 순치 |
Den- tal 치 |
Alveo-lar 치경 |
Post- alveo-lar 후치경 |
Retro- flex 치경구개 |
Pala- tal 경구개 |
Velar 연구개 |
Uvu- lar 목젖
|
Pharyn-geal 목구멍 |
Glot- tal 성문 | |||||||||||
유성과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Plosive |
p |
b |
|
|
|
|
t |
d |
|
|
ʈ |
ɖ |
c |
ɟ |
k |
ɡ |
q |
ɢ |
|
ȏ |
ʔ |
|
Aspirated |
pʰ |
|
|
|
|
|
|
|
|
|
ʈʰ |
|
|
|
kʰ |
|
|
|
|
|
|
|
Tense |
p' |
|
|
|
|
|
|
|
|
|
ʈ' |
|
|
|
k' |
|
|
|
|
|
|
|
Nasal |
|
m |
|
ɱ |
|
|
|
n |
|
|
|
ɳ |
|
ɲ |
|
|
N |
|
|
|
| |
Trill |
|
B |
|
|
|
|
|
r |
|
|
|
|
|
|
|
|
|
R |
|
|
|
|
Tap or Flap |
|
|
|
|
|
|
|
ɾ |
|
|
|
ɽ |
|
|
|
|
|
|
|
|
|
|
Fricative |
ɸ |
f |
v |
ɵ |
s |
z |
ʃ |
ʒ |
ʂ |
ʐ |
ʝ |
X |
ɣ |
ʁ |
ʕ |
h |
ɦ | |||||
Aspirated |
|
|
|
|
|
|
ʦʰ |
|
|
|
|
|
|
|
|
|
|
|
|
|
|
|
Tense |
|
|
|
|
|
|
s' |
|
ʦ' |
|
|
|
|
|
|
|
|
|
|
|
|
|
Lateral fricative |
|
|
|
|
|
|
ɬ |
ɮ |
|
|
|
|
|
|
|
|
|
|
|
|
|
|
Approximant |
|
|
|
ʋ |
|
|
|
ɹ |
|
|
|
ɺ |
|
ʲ |
|
ɰ |
|
|
|
|
|
|
Lateral approximant |
|
|
|
|
|
|
|
|
|
|
ɭ |
|
ʎ |
|
ʟ |
|
|
|
|
|
| |
비고 |
조음방법의 용어 : Plosive(파열음), Aspirated(유기음), Tense(긴장음), Nasal(비음), Trill(떨림), Tap or Flap(두드림), Fricative(마찰음), Lateral fricative(설측음), Approximant(반모음), Lateral approximant(반자음) ‘파열음’ 줄에는 한국어 [ㅇ]과 같은 소리의 기호로 [ȏ]과 ‘유기음(Aspirated)’ [pʰ,ʈʰ, kʰ]와 ‘긴장음(Tense)’ [p', ʈ', k']를, ‘마찰음' 줄에는 유기음 [ʦʰ]과 긴장음 [s', ts']를 더하여 넣었고, 용어를 한국어로 해석하여 넣었음. |
위의 국제음성기호는 가로행의 조음점이나
세로행의 조음방법이 세분되어 있으나,
이것만으로 세계의 모든 언어의 음성을 표시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여러 가지 부속 기호들을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그러한 부호는 제외하고
기본적인 자음을 표시한 체계표를 기준으로 하여
유기음과 긴장음을 더하여 정리한 것입니다.
'자녀교육 > **한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 4 = 형태에 관한 것 (0) | 2007.10.29 |
---|---|
한글 맞춤법 3 = 소리에 관한 것 (0) | 2007.10.29 |
한글 맞춤법 2 총칙, 자모 (0) | 2007.10.29 |
한글 맞춤법 1 (0) | 2007.10.29 |
국제음성기호 (0) | 2007.10.29 |